재에서 시작한 비누
비누는 인간의 문명과 함께 발전해온 제품 중 하나입니다. 비누는 세탁세제, 샴푸, 치약, 바디워시, 클렌징제품, 주방세제 등 거품이 나는 모든 제품의 원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누의 기원은 기원전 2500년경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인이 염소의 지방과 나무가 타고 남은 재 등을 혼합해 활용한 것이 그 시초라고 합니다. 이후 양잿물이라고 흔히 불리는 가성소다가 바닷물로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비누가 상용화되기 시작했습니다. 비누는 규칙적으로 씻고, 옷도 깨끗이 빨아입기 시작하면서 각종 피부병을 예방할 수 있었습니다. 비누는 인간의 수명을 최소 20년을 늘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비누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작용하는 것일까요?
비누는 알칼리 성분과 지방질을 섞어 열을 가하면 물과 쉽게 결합하는 친수성분과 기름과 결합하는 친유성분을 동시에 가지게 됩니다. 비누에는 ‘계면활성제’라는 성분이 있어 결합력이 약해진 때를 완전히 분리해줍니다. 계면활성제는 세탁한 옷 한올한올 사이사이에 붙어 있어 아토피 등 피부병을 유발하거나, 아무리 깨끗하게 씻어도 그릇에, 과일과 야채에 얇게 피막을 형성하고 있어 결국 우리가 먹게 되어 인체에 축적됨으로써 각종 암, 병에 쉽게 노출되고 있다고 합니다.
계면활성제는 물과 기름같이 서로 다른 성질의 물질이 만나는 표면 또는 경계면에 개입하여 활성화시키는 물질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기름과 물을 원할히 섞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우리가 ‘때‘ 또는 ’오염물‘이라 부르는 제거 대상물질들은 대부분 기름성분입니다. 삼겹살을 먹고난 그릇을 세제없이 물로만 씻어낸다면 기름이 물에 잘 녹지 않아 그릇 표면이 미끈거림을 느낄 것입니다. 계면활성제는 친수기와 친유기로 나뉩니다. 친수기는 물에, 친유기는 기름에 붙습니다. 친유기는 대체로 탄화수소물질, 친수기는 이온의 종류에 따라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리가 세제를 묻혀 설거지를 시작하면, 수세미에 묻은 주방 세제 내에 계면활성제 성분들은 그릇의 표면과 오염물을 둘러 싸며 결합합니다. 친유기는 오염물에 친수기는 물의 방향으로 결합하며 수많은 계면활성제로 둘러싸인 오염물 표면은 물과 친수기가 최외곽에 위치하게 됩니다. 그릇 표면에 붙어있던 오염물은 머리 부분의 전하에 의해 서로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고 약간의 힘만으로도 그릇의 표면에서 떨어집니다.
계면활성제의 종류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유화, 분산성이 뛰어나며 거품이 많고 세정작용이 강합니다. 온도의 영향을 받기 어렵습니다. 비누나 폼 클렌징 제품, 샴푸에 많이 사용됩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역성비누)는 소독하거나 살균하는 작용을 하며 정전기를 줄여줍니다. 보통 린스나 트리트먼트 제품에 사용됩니다. 린스를 쓸 때 두피가 아니라 모발에 바를 수 있어야 하는데, 피부 자극이 강하게 느껴질 수 있어 되도록이면 두피에 닿지 않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피부 자극을 줄여주는 샴푸나 아이들용 샴푸에 쓰입니다. 피부 자극이 덜하기 때문에 화장품에도 많이 사용됩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친수성과 소수성의 밸런스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유화, 가용 화력이 뛰어나며 거품이 적습니다. 온도의 영향을 받기 쉽습니다. 의류용 세제, 금속 가공유로 주로 사용됩니다.
계면활성제는 합성계면활성제와 천연유래계면활성제로 나뉩니다. 합성계면활성제는 대부분 석유에서 추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출방식으로 저렴할 뿐만 아니라 강한 세정력, 뛰어난 발림성과 부드러움으로 일상속 수많은 종류의 생활 용품에 쓰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합성계면활성제는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합성계면활성제는 보통 성분 이름이 ‘설페이트’로 끝납니다. 천연유래계면활성제는 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만들어집니다. 천연유래계면활성제는 저자극이고 생분해가 잘 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한다.
환경오염을 줄이는 천연유래계면활성제의 종류는?
소듐라우럴서포아세테이트(SLSA) : 코코넛으로부터 합성한 천연 저자극 계면활성제로, 샴푸나 바디워시에 사용됩니다. 거품이 풍부하고 부드럽습니다.
데실폴리글루코오스 : 코코넛, 팜, 옥수수, 사탕무와 팜핵유에서 얻어지는 다당류의 천연성분으로 만들어집니다. 피부에 자극이 적고, 물에 잘 녹습니다. 샴푸나 클렌징제에 사용됩니다.
코코베타인 : 코코넛 오일에서 유래된 글리신베타인과 코카마이드가 결합되어 만들어집니다. 친수성과 친유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 다른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사용됩니다. 거품이 부드럽고 안정적입니다. 샴푸나 바디워시에 사용됩니다.
애플워시 : 사과주스에서 얻은 필수 아미노산을 이용하여 만들어집니다. 피부와 모발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며, 거품이 부드럽고 풍부합니다. 샴푸나 바디워시에 사용됩니다.
비누는 우리의 생활에 필수적인 제품입니다. 하지만 비누의 성분과 작용방식을 잘 알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누는 피부의 ph를 조절하고, 오염물을 제거하며, 피부병을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비누의 종류에 따라 피부에 미치는 영향도 다릅니다. 알칼리비누는 세정력이 강하지만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약산성, 중성비누는 피부에 자극이 적지만 세정력이 약합니다. 합성계면활성제는 저렴하고 강한 세정력을 가지지만 인체와 환경에 유해할 수 있습니다. 천연유래계면활성제는 저자극이고 생분해가 잘 되지만 비싸고 성능이 낮을 수 있습니다.
비누를 선택하고 사용할 때는?
피부 타입에 맞는 비누를 선택하세요. 건성 피부는 보습력이 좋은 비누, 지성 피부는 세정력이 좋은 비누, 민감성 피부는 자극이 적은 비누를 사용하세요.
비누의 ph를 확인하세요. 피부의 ph는 약산성입니다. 너무 알칼리적인 비누는 피부의 보호막을 해치고, 너무 산성인 비누는 피부를 건조하게 만듭니다. ph 5~7 정도의 중성 또는 약산성 비누를 사용하세요.
비누의 성분을 확인하세요. 합성계면활성제나 인공색소, 인공향료 등은 피부에 유해할 수 있습니다. 천연유래계면활성제나 식물성 오일, 에센셜 오일 등은 피부에 자연스러운 영양과 향을 줍니다. 성분표를 잘 읽고, 자신에게 맞는 비누를 선택하세요.
비누를 적절하게 사용하세요. 비누는 적당한 양과 시간을 가지고 사용해야 합니다. 너무 많이 또는 너무 오래 사용하면 피부에 건조함과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비누를 사용한 후에는 깨끗하게 헹궈주고, 보습제를 바르세요.
비누는 재에서 시작하여 인간의 문명과 함께 발전해온 제품입니다. 비누의 역사와 원리, 종류와 사용법을 알고, 건강하고 깨끗한 피부를 유지하세요.
'쉽게 읽히는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외선과 자외선 차단제 (0) | 2023.08.07 |
---|---|
홍대용을 아십니까? (0) | 2023.08.07 |
비가 올 때 냄새가 퍼지는 이유 (0) | 2023.08.05 |
컵라면 속 과학 (0) | 2023.08.04 |
폴더블 스마트폰 (0) | 2023.08.03 |